워드프레스 포스트 조회수 확인하기

워드프레스 포스트 조회수 확인하기

들어가며 참고한 글 개인적으로 플러그인 사용을 선호하지 않아서, 플러그인 없이 개별 포스트에 카운터를 달 수 있게 작업했습니다. 위 글에 나온 소스를 적용하면, F5 누르면 누를 때마다 조회수가 올라가는 불상사가 벌어지기에, 그 부분만 수정했습니다. functions.php 수정 function getPostViews($postID) { $count_key = "post_views_count"; $count = get_post_meta($postID, $count_key, true); if ($count == "") { delete_post_meta($postID, $count_key); add_post_meta($postID, $count_key,

워드프레스PHP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싫어요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싫어요

뭐 사실 인터넷을 제대로 쓰기 시작하면서 단 한 번도 좋아한 적은 없는 브라우저입니다만, 웹을 배우면서는 싫어하는 브라우저가 된 이젠 언급하기도 지치는 익스플로러입니다. 티스토리 스킨 만들던 초창기엔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지원하지 않는다는 문구를 친절히 넣어뒀지만, 어느샌가 그것도 귀찮아 그냥 되건 말건 신경도 안 쓰고 살았습니다. 그래도 티스토리 쓰던 시절엔 jQuery로 짠 소스가 많아서 페이지를 볼 순 있었는데,

[티스토리] 인기글인지 확인하기

[티스토리] 인기글인지 확인하기

위 사진처럼 카테고리 글 목록, 검색 결과 등 글 목록이 표시되는 모든 부분에서 해당 글이 인기 글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립트입니다. 응용하시면 본문에서도 활용 가능합니다. <s_sidebar_element> <!-- 이 블로그 인기글 --> <div class="popularPost"> <h3>이 블로그 인기글 </h3> <ul> <s_rctps_popular_rep> <li> <a href="[##_rctps_rep_link_##]" class="ImSoHot">[##_rctps_rep_title_##]</a> <span class="cnt">[##_rctps_rep_rp_cnt_##]</span> <s_rctps_rep_thumbnail> <img src="[##_rctps_rep_thumbnail_##]"/> </s_rctps_rep_thumbnail> <a href="[##_rctps_rep_category_link_##]">[##_rctps_rep_category_##]</a> </li> </s_rctps_popular_rep> </ul>

JavaScriptTistory
유튜브 썸네일 추출하기

유튜브 썸네일 추출하기

Github 간편하게 유튜브 썸네일을 추출할 수 있는 웹앱입니다. 220428 업데이트 모든 썸네일 크기 렌더링하도록 수정 Shorts 썸네일 추출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 210222 업데이트 png 이미지 제거 추출 버튼 클릭할 때마다 html 구조를 초기화하지 않도록 수정 original.jpg가 없는 이미지는 maxresdefault.jpg 출력 링크에 시간 등 옵션이 들어있을 때 썸네일이 제대로 출력되지 않던 오류 수정 Export Thumbnails 사용법

JavaScriptYoutube
손님 댓글 수정 기능 업데이트

손님 댓글 수정 기능 업데이트

브라우저에 쿠키를 저장해서 30분 동안은 작성자가 댓글을 수정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했습니다. 브라우저 쿠키를 사용해서, 사용자 환경이 달라지면 수정할 수 없습니다. 답글 버튼 옆에 버튼들이 추가됩니다. 답글 바로 오른쪽 버튼은 수정 버튼, 그 다음은 삭제 버튼입니다.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이렇게 댓글을 수정할 수 있는 창이 댓글 안에 생깁니다. 삭제 버튼은 그냥 댓글이 삭제됩니다. 해당 댓글에만 접근

워드프레스제작일지
[CSS] 드로어(Drawer) 만들기

[CSS] 드로어(Drawer) 만들기

퓨어 CSS로 만든 드로어입니다.input과 label, 그리고 CSS 선택자인 ~만 적절히 조합하면 요소를 클릭하면 다른 요소에 class 더하고 빼는 수준의 작업은 CSS만으로도 할 수 있습니다. 먼저 CSS 선택자인 ~ 는 elem1 ~ elem2 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며, elem1 뒤에 있는 elem2 모두를 선택합니다.여기서 중요한 건, elem 1과 elem 2의 부모는 같은 요소여야 합니다. 당연히 label::before를 클릭해도

CSS드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