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스와이프 방향 알아내기](https://cdn-t.marshallku.com/images/images/2019/10/swipe-event.w500.png)
[자바스크립트] 스와이프 방향 알아내기
제 블로그에서 드로워를 열거나, 홈 화면 슬라이더를 넘길 때 사용 중인 스와이프 감지 스크립트입니다. 굉장히 단순한 구조지만, 간단한 사용엔 크게 무리가 없습니다.
제 블로그에서 드로워를 열거나, 홈 화면 슬라이더를 넘길 때 사용 중인 스와이프 감지 스크립트입니다. 굉장히 단순한 구조지만, 간단한 사용엔 크게 무리가 없습니다.
Lazy Load(레이지 로드)란? 오프스크린 이미지(사용자가 보고 있는 화면에 보이지 않는 이미지)를 로딩하지 않고 있다가, 사용자가 스크롤을 움직여서 해당 이미지가 보여야 할 시점에 이미지를 로딩하는 기술입니다. 완벽하게 작동하기 위해선 서버사이드에서 이미지의 경로를 삽입하지 않거나, loading="lazy"란 옵션을 줘야 하기 때문에, 티스토리에선 완벽하게 작동하기 힘듭니다. 투명 이미지 업로드 이미지에 오류가 발생하면 티스토리에서 위 이미지를 집어넣습니다.굳이 로딩하지 않아도 될
window.open() 혹은 a (anchor) 태그에 target="_blank" 어트리븃을 붙여서 연 윈도우와 원래 윈도우 간 정보 교환하는 방법입니다.
티스토리 썸네일이 아무것도 없을 때, 만약 글에 유튜브 영상이 포함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해당 유튜브의 썸네일을 썸네일로 표시하는 스크립트입니다.
같은 태그를 가진 글 목록 불러오기
깃허브 제작기 링크 소개 HTML5 Canvs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썸네일, 배너 등에 쓸 수 있는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는 앱입니다. 이미지의 크기 조정, 텍스트 수정, 배경 색 및 글자 색 변경, 배경에 이미지 추가, 해당 이미지의 투명도 조절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포토샵 등의 도구보다 자유도는 떨어지지만, 배너나 썸네일을 만들기는 훨씬 수월합니다. 사용법 크기 조정 Canvas의
위 사진처럼 카테고리 글 목록, 검색 결과 등 글 목록이 표시되는 모든 부분에서 해당 글이 인기 글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립트입니다. 응용하시면 본문에서도 활용 가능합니다. <s_sidebar_element> <!-- 이 블로그 인기글 --> <div class="popularPost"> <h3>이 블로그 인기글 </h3> <ul> <s_rctps_popular_rep> <li> <a href="[##_rctps_rep_link_##]" class="ImSoHot">[##_rctps_rep_title_##]</a> <span class="cnt">[##_rctps_rep_rp_cnt_##]</span> <s_rctps_rep_thumbnail> <img src="[##_rctps_rep_thumbnail_##]"/> </s_rctps_rep_thumbnail> <a href="[##_rctps_rep_category_link_##]">[##_rctps_rep_category_##]</a> </li> </s_rctps_popular_rep> </ul>
Github 간편하게 유튜브 썸네일을 추출할 수 있는 웹앱입니다. 220428 업데이트 모든 썸네일 크기 렌더링하도록 수정 Shorts 썸네일 추출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 210222 업데이트 png 이미지 제거 추출 버튼 클릭할 때마다 html 구조를 초기화하지 않도록 수정 original.jpg가 없는 이미지는 maxresdefault.jpg 출력 링크에 시간 등 옵션이 들어있을 때 썸네일이 제대로 출력되지 않던 오류 수정 Export Thumbnails 사용법
블로그를 Vanilla JS만 이용해 SPA(Single Page Application)로 업데이트한 후기도 정리해봤습니다.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SPA 만든 과정과 후기 들어가기 앞서 jQuery는 한때 굉장히 강력한 라이브러리였지만, 자바스크립트가 해야 할 일(eg. 양방향 데이터 바인딩)이 갈수록 많아지면서 React, Angular, Vue와 같은 라이브러리에 묻히는 라이브러리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웹 애플리케이션 같은 거대한 규모가 아닌, 블로그 같은 작은 규모의 페이지에선 여전히 쉽고 강력한 라이브러리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