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프로젝트 시작하기 직전에야 쓰는 1차 프로젝트 회고

개발

2차 프로젝트 시작하기 직전에야 쓰는 1차 프로젝트 회고
최종 수정일:

About Project

Github

기획서

프로젝트 팀원 분들과 주제를 정하다, 이렇다 할 주제가 나오질 않아 서로의 관심사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져봤고, 그 과정에서 '여행'과 '음식'이란 키워드가 가장 많이 겹쳐 '음식이 가져다주는 행복'을 지역별로 기록하는 서비스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결과물

서버가 내려가서 작동 과정이 가장 잘남은 자료가 스터디원 분들께 크롬 개발자 도구에 Recorder 나온 거 보여 드리려고 촬영했던 동영상이네요.
프리미어로 필요 없는 부분은 자른다고 잘랐는데, 깔끔하게 자르긴 힘드네요.

기술 스택 및 서버 구조

이거 먹어봄? 기술 스택 및 서버 구조

서버 한 대로 모든 걸 처리해야 해서 정적 파일용 서버, 미디어 서버, 노드 서버, DB 서버가 모두 한 VM에 있습니다.
Nginx의 리버스 프록시 등을 적극 활용했습니다.

이런저런 어려움들

시간 및 체력 관리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12일간 711회(일 평균 59.25)의 contribution을 진행했고, 가장 많은 날은 157회였습니다.

깨있는 시간 거의 전부를 팀 프로젝트에 투자했고, 산책 등의 루틴도 반납했습니다.
잘해야 한다는 부담감에 잠도 제대로 못 잤는데, 프로젝트 막바지가 되니 잠을 자는 게 아니라 잠깐 죽었다 살아나는 느낌이더라고요.

주어진 기간이 2주다 보니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었다고 생각하는데, 다음번엔 5.3kg가량이 2주 만에 빠지는 참사는 안 일어나게 더욱 잘 먹어야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팀으로 작업하기

팀으로 움직이는 것도 처음인데, 팀장직까지 맡으니 신경 쓸 게 하나둘이 아니었습니다.

코드 스타일 통일

가장 먼저 코드 스타일을 통일해야 했습니다.
Prettier와 Eslint(airbnb 스타일)를 사용해 최대한 틀을 맞췄고, BEM 방법론으로 네이밍도 통일했습니다.
외에도 함수 이름을 짓는 방식이나, 돔에 접근하는 방식 등 다양한 스타일도 맞춰가야 했는데, 각기 다른 사람들을 한 스타일로 묶는다는 게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더라고요.

등의 규칙을 세워가며 진행했고, 돔에 접근하는 방식 통일은 후술하겠습니다.

덧붙여 안 그래도 정신없는 일정에 처음 보는 방법론이나 스타일들을 도입했음에도 지키려 노력하시고, 지키는 데 성공한 팀원분들 께 항상 감사한 마음입니다.

코드 리뷰

master 브랜치로 병합은 코치님의 리뷰 후 진행되었으나, 개발 브랜치로 병합할 땐 프론트엔드는 제가, 백엔드는 다른 팀원 분이 리뷰를 진행하고 병합했습니다.
짧은 시간 안에 남의 코드를 읽고 분석해야 한다는 게 쉽지 않은 일이었으나, 다양한 함수를 최대한 컴포넌트화하고, 코드 스타일을 통일해가니 수고가 많이 줄었습니다.
덕분에 남의 코드 읽는 실력도 많이 늘기도 했습니다.

촉박한 시간 탓에 문제가 보여도 일단 병합하고 제가 수정해버릴 때도 잦았는데, 다른 팀원의 성장 가능성을 막은 것 같아 끝나고 돌아보니 많이 죄스럽네요.
데드라인을 팀원끼리 상의해서 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으면 여러모로 서로 더 성장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분업

해야 할 일을 찾고, 그 일을 적당한 사람에게 배분하는 것도 녹록지 않았는데, 처음엔 제게 주어진 정보가 팀원 분들의 Github 뿐이라, 해당 작업을 감당할 수 있을지, 속도는 어느 정도가 될지 가늠하기가 참 어려웠습니다.
이런 문제는 시간이 흐르고 서로 조금 더 알게 되며 보통 해결되긴 하지만, 온라인으로 진행되다 보니 소통도 오프라인만큼 수월하진 않아 해결되는 속도가 조금 더뎠던 것 같네요.

나는 단위 시간 내에 얼만큼의 일을 해결할 수 있는지 객관화도 열심히 해야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작업하며 배우고 느낀 것

돔 업데이트

작업 시작하자마자 프론트엔드 팀원이 각각 스타일이 모두 다르단 걸 알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innerHTMl을 사용하는 걸 아주 안 좋아하는데

document.body.innerHTML = `<img src=x onerror=alert('hi')>`;

지금은 이런 스크립트도 실행이 안 되지만, 불과 몇 주 전 저희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만 해도 저런 코드가 잘 실행되어 보안의 문제도 있고

document.body.innerHTML = `
    <div class="tmp">
        <h2 class="tmp__title">Title</h2>
        <p class="tmp__description">Description</p>
    </div>
`;

Syntax 하이라이트가 하나도 지원되지 않는데다가, 따옴표도 매번 수동으로 닫아야 하고, 생성 후 이벤트 리스너를 추가하거나, 내용을 수정할 때도 돔에 다시 접근해서 번거롭게 작업해야 합니다.

그리고 사실 무엇보다 innerHTML을 쓴다는 것 자체가 아름답지 않아 보이기도 합니다.

function WithCreateElement() {
    const container = document.createElement("div");
    const title = document.createElement("h2");
    const description = document.createElement("p");
 
    title.innerText = "Title";
    title.classList.add("tmp__title");
 
    description.innerText = "Description";
    description.classList.add("tmp__description");
 
    container.classList.add("tmp");
    container.addEventListener("click", () => {
        console.log("hi");
    });
    container.append(title, description);
 
    return container;
}

이런 방식으로 createElement만 이용하는 것도 가독성이나, 유지보수에 못지않게 나쁘긴 합니다.

export default function el(nodeName, attributes, ...children) {
    const node =
        nodeName === "fragment"
            ? document.createDocumentFragment()
            : document.createElement(nodeName);
 
    Object.entries(attributes).forEach(([key, value]) => {
        if (key === "events") {
            Object.entries(value).forEach(([type, listener]) => {
                node.addEventListener(type, listener);
            });
 
            return;
        }
 
        if (key in node) {
            try {
                node[key] = value;
            } catch (err) {
                node.setAttribute(key, value);
            }
        } else {
            node.setAttribute(key, value);
        }
    });
 
    children.forEach((childNode) => {
        if (typeof childNode === "string") {
            node.appendChild(document.createTextNode(childNode));
        } else {
            node.appendChild(childNode);
        }
    });
 
    return node;
}
 

그래서 앞서 작성한 중간회고에서 언급했듯, 위 코드와 같은 팩토리 함수를 제작했습니다.

참고
Jason Miller: Preact: Into the void 0 | JSConf EU 2017
How to Write Your Own JavaScript DOM Element Factory

function WithFactoryFunction() {
    return el(
        "div",
        {
            className: "tmp",
            events: {
                click: () => {
                    console.log("hi");
                },
            },
        },
        el("h2", { className: "tmp__title" }, "Title"),
        el("p", { className: "tmp__description" }, "Description"),
    );
}

구조 파악도 한결 쉬워지고, 이벤트 리스너도 간편히 추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만약 요소에 접근할 일이 있으면, createElement를 사용할 때처럼 따로 변수에 저장해둘 수도 있습니다.

한 번 제작해보니 바닐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일 있으면 이 방법을 쓰는 게 대부분 상황에서 좋지 않을까 싶을 만큼 만족도가 높은 작업이었습니다.

라우터

import renderPage from "../pages";
 
export function route(isPopstate?: boolean) {
  const path = window.location.pathname.split("/")[1];
 
  renderPage(path, isPopstate || false);
}
 
export function replacePath(path: string): void {
  window.history.replaceState("", document.title, path);
  route();
}
 
export function updatePath(path: string): void {
  window.history.pushState("", document.title, path);
  route();
}
 
export function addClickEvent(elt: HTMLElement, path: string): void {
  elt.setAttribute("href", path);
  elt.addEventListener("click", (event) => {
    event.preventDefault();
    updatePath(path);
  });
}
 
export function initializeRouter() {
  route();
 
  window.addEventListener("popstate", (event) => {
    if (window.location.pathname === "/add" && window.location.hash) return;
    event.preventDefault();
    route(true);
  });
}

History API를 기반으로 간단하게 라우터를 만들었습니다.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에선 이 정도로 충분하겠지만, 관리 페이지처럼 /user, /user/posts, /user/liked, /user/comments같이 깊이가 하나 추가된 상태에서 모든 페이지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공유하며, 해당 내용을 업데이트만 하면 될 때를 감당하긴 힘들었습니다.

export function customRouter(): ICustomRouter {
  return {
    base: "",
    baseElement: null,
    routes: {},
    navigators: [],
    update(path, init) {
      const uriPath = `/${this.base}${path === "/" ? "" : path}`;
      window.scrollTo(0, 0);
      if (!init) {
        window.history.pushState("", document.title, uriPath);
      }
      this.navigators.forEach((x) => x.classList.remove("highlight"));
      this.navigators
        .filter((x) => x instanceof HTMLAnchorElement && x.pathname === uriPath)
        .forEach((x) => x.classList.add("highlight"));
 
      if (this.baseElement && this.routes[path]) {
        this.baseElement.innerHTML = "";
        this.baseElement.append(this.routes[path]());
      }
    },
    addNavigator(elt: HTMLElement, path: string) {
      elt.setAttribute("href", `/${this.base}${path === "/" ? "" : path}`);
      elt.addEventListener("click", (event) => {
        event.preventDefault();
        this.update(path);
      });
      this.navigators.push(elt);
    },
    initialize(path) {
      this.update(path, true);
    },
  };
}

그래서 급하게 위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함수를 하나 제작하고

function Drawer(userPageRouter: ICustomRouter) {
  const Button = ({ text, path }: { text: string; path: string }) => {
    const a = el(
      "a",
      { className: "nav__item" },
      el("i", { className: "icon-utensil-spoon-solid" }),
      text,
    );
 
    userPageRouter.addNavigator(a, path);
 
    return el("li", {}, a);
  };
 
  return el(
    "nav",
    { className: "nav" },
    el(
      "ul",
      { className: "nav__items" },
      Button({
        text: "작성 글",
        path: "/",
      }),
      Button({
        text: "추천한 글",
        path: "/liked",
      }),
      Button({
        text: "작성 댓글",
        path: "/comment",
      }),
    ),
  );
}
 
export default function UserPage() {
  const isMain = window.location.pathname === "/user";
  const userPageRouter = customRouter();
  userPageRouter.base = "user";
  userPageRouter.routes = {
    "/": UserPagePost,
    "/liked": UserPageLike,
    "/comment": UserPageComment,
  };
 
  const drawer = Drawer(userPageRouter);
  const main = el("main", { className: "settings" });
 
  userPageRouter.baseElement = main;
  userPageRouter.initialize(
    window.location.pathname.replace("/user", isMain ? "/" : ""),
  );
 
  return el("fragment", {}, drawer, main);
}

이런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는데, 아무래도 상술한 상황 하나를 해결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하다 보니, 재사용성이 높은 함수를 만들어내진 못한 것 같습니다.

코치님께선 "주어진 시간을 고려하면 잘 만들었다."고 해주셨지만, 개인적으로 조금만 다르게 해석하면 "잘 만들진 못했다."는 말과 별반 다를 게 없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상술한 것처럼 제가 보기에도 여전히 문제가 남아있으니까요.

2차 프로젝트까지 끝나면 프로젝트를 수정하건, 간단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건 하며 업데이트해볼 생각입니다.
물론 마음에 들게 제대로 만들려면 돔 생성하는 부분부터 시작해 갈아엎어야 할 게 하나둘이 아니라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릴지 의문이긴 합니다.

남도 쓸 수 있는 코드 작성

export default function renderHeader(page) {
  const [wideAddr, localAddr] = window.location.pathname
    .split("/")
    .slice(2)
    .map((x) => decodeURI(x));
  // ...
}

얼핏 보면 wideAddrlocalAddr을 도대체 어디서 어떻게 가져오는지 알기 힘든 코드를

export function getPaths(index = 1): string[] {
  return window.location.pathname
    .split("/")
    .slice(index)
    .map((x) => decodeURI(x));
}

이런 식으로 함수로 따로 빼내 가독성뿐 아니라 재사용성을 올리고, 한 컴포넌트는 하나의 일만 해야 한단 원칙에도 조금 더 가까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export const MS_TO_SECOND = 1000;
export const MINUTE_TO_SECOND = 60;
export const HOUR_TO_SECOND = MINUTE_TO_SECOND * 60;
export const DAY_TO_SECOND = HOUR_TO_SECOND * 24;
export const WEEK_TO_DAY = 7;
export const MONTH_TO_DAY = 30.43; // (365.24 / 12).toFixed(2)
export const YEAR_TO_DAY = 365.24; // leap year
 
export function formatToReadableTime(dateString: string) {
  const { floor } = Math;
  const now = new Date().getTime();
  const date = new Date(dateString).getTime();
  if (Number.isNaN(date)) return "어떤 오후";
  const diffToSeconds = (now - date) / MS_TO_SECOND;
  const diffToDay = floor(diffToSeconds / DAY_TO_SECOND);
  const lessThanDay = diffToSeconds < DAY_TO_SECOND;
 
  if (lessThanDay) {
    if (diffToSeconds < 5 * MINUTE_TO_SECOND) return "방금";
    if (diffToSeconds < HOUR_TO_SECOND)
      return `${floor(diffToSeconds / MINUTE_TO_SECOND)}분 전`;
    return `${floor(diffToSeconds / HOUR_TO_SECOND)}시간 전`;
  }
 
  if (diffToDay < WEEK_TO_DAY) return `${diffToDay}일 전`;
  if (diffToDay < 2 * MONTH_TO_DAY)
    return `${floor(diffToDay / WEEK_TO_DAY)}주 전`;
  if (diffToDay < YEAR_TO_DAY)
    return `${floor(diffToDay / MONTH_TO_DAY)}개월 전`;
  return `${floor(diffToDay / YEAR_TO_DAY)}년 전`;
}

난무하던 매직 넘버도 모두 분리했고

const DEFAULT_WAIT = 500;
 
export function throttle(func: () => any, wait = DEFAULT_WAIT): () => void {
  let timer: ReturnType<typeof setTimeout> | null;
 
  return () => {
    if (!timer) {
      timer = setTimeout(() => {
        timer = null;
        func();
      }, wait);
    }
  };
}

위 상황처럼 파라미터에서나, switch문에서 지금까진 '그냥 파라미터로 넘길 때 타이핑 적게 하려고' 등의 이유로 기본값을 작성해왔으나, 혹시 모를 실수를 방지하고, 최대한 매직 넘버를 줄이며, 애플리케이션 작동의 통일성을 높이기 위한 기본값을 작성하는 계기도 되었습니다.

명시적인 코드 작성

const array = ["first", "second", "third"];
 
const first = array[0];
const second = array[1];
 
const [first, second] = array;

위 상황처럼 배열 내에서 둘 이상의 아이템을 가져오지 않을 땐 배열[인덱스]등의 접근도 자주 사용했습니다.
코치님의 피드백을 통해 위 방식이 명시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상술한 내용에서 꾸준히 강조했듯 알아보기 좋은 코드의 작성을 위해 여러 방면에서 고민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const setSize = () => {
    itemWidth = container.querySelector(selector).offsetWidth;
    const cols = Math.floor(container.offsetWidth / itemWidth);
 
    stack = [...new Array(cols)].map(() => 0);
    // ...
}

또한, 이렇게 가독성도 떨어지고 위험한 방식으로 배열을 조작하기보다

export function reset(arr: Array<any>): void {
  while (arr[0]) {
    arr.pop();
  }
}
 
export function resetWithSize(
  arr: Array<any>,
  size: number,
  number: number,
): void {
  reset(arr);
  // eslint-disable-next-line no-plusplus
  for (let i = 0; i < size; i++) {
    arr.push(number);
  }
}

이렇게 함수를 하나 따로 만들어 가독성과 안정성을 조금씩 높여가는 계기도 되었습니다.

선언형 프로그래밍에 관한 고민

export default function Carousel(items: Array<IPhoto>) {
  const container = document.createElement("div");
  const carousel = document.createElement("div");
  const slider = document.createElement("ul");
  const dotsContainer = document.createElement("div");
 
  const buttons: Array<HTMLElement> = [];
  const dots: Array<HTMLElement> = [];
 
  let currentIndex = 0;
  let containerWidth = 0;
  let initialX = 0;
  let diffX = 0;
 
  // ...
}

개인적으로도 마음에 안 드는 코드였는데, 시간이 부족하기도 하고, 방향성을 잡지도 못해 결국 리팩터링하지 못 했던 코드입니다.
Carousel 내부에서 위에 보이는 것처럼 let으로 선언한 변수들과 buttons, dots 두 상수를 global 변수처럼 사용하도록 코드를 짜뒀습니다.

const slide = (direction: TDirection) => {
  // First Page
  if (currentIndex === 0 && direction === -1) {
    slide(0);
    return;
  }
 
  // Last page
  if (direction === 1 && currentIndex === items.length - 1) {
    slide(0);
    return;
  }
 
  if (containerWidth === undefined) setContainerWidth();
 
  // Update currentIndex
  currentIndex += direction;
 
  // Update Buttons
  buttons.forEach((x) => x.classList.remove("carousel__button--disabled"));
 
  if (currentIndex === 0)
    buttons[0].classList.add("carousel__button--disabled");
  if (currentIndex === items.length - 1)
    buttons[1].classList.add("carousel__button--disabled");
 
  // Update Count
  counter.update(currentIndex + 1);
 
  // Update dots
  dots.forEach((x) => x.classList.remove("carousel__dot--active"));
  dots[currentIndex].classList.add("carousel__dot--active");
 
  // Slider Element
  slider.style.transform = `translate3d(${
    containerWidth * currentIndex * -1
  }px, 0, 0)`;
};

당장 봐도 buttons[0], buttons[1]const [ prevButton, nextButton ] = buttons처럼 수정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왜 수정을 안 했는지 좀 의문이네요.

아무튼 이런 식으로 global 변수처럼 접근하는 게 굳이 slide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돔에 접근할 필요가 없어 성능 상엔 이점이 있지 않을까 싶다가도, 가독성도 떨어지고 너무 막 짠 코드 같아 보이는데다, 클로저를 활용하면 매번 돔에 접근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코치님께서 '선언형 프로그래밍'이란 키워드를 던져주셨는데, 아직 해결하지 못한 숙제로 남아있어 마찬가지로 2차 프로젝트가 끝나면 더 깊이 있게 알아봐야 할 주제입니다.

Webpack 세팅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MiniCssExtractPlugin = require("mini-css-extract-plugin");
const CssMinimizerPlugin = require("css-minimizer-webpack-plugin");
const HtmlWebpackPlugin = require("html-webpack-plugin");
 
module.exports = {
    mode: "production",
    target: "web",
    entry: "./src/ts/index.ts",
    devtool: false,
    output: {
        filename: "[name].js",
        sourceMapFilename: "[file].map[query]",
        path: path.resolve(__dirname, "dist"),
    },
    module: {
        rules: [
            {
                test: /\.(woff|woff2|eot|ttf|otf|svg)$/i,
                generator: {
                    filename: "[name][ext]",
                },
            },
            {
                test: /\.tsx?$/,
                exclude: /node_modules/,
                use: "ts-loader",
            },
            {
                test: /\.css$/,
                use: [MiniCssExtractPlugin.loader, "css-loader"],
            },
        ],
    },
    plugins: [
        new MiniCssExtractPlugin({ filename: "[name].css" }),
        new HtmlWebpackPlugin({
            template: "./index.html",
            filename: "index.html",
        }),
    ],
    optimization: {
        minimizer: [new CssMinimizerPlugin(), "..."],
    },
    resolve: {
        extensions: [".tsx", ".ts", ".js"],
    },
    devServer: {
        static: {
            directory: path.join(__dirname, "./static"),
            publicPath: "/static",
        },
        port: 9990,
        hot: true,
        historyApiFallback: true,
    },
};

처음엔 HtmlWebpackPlugin을 활용하지 못해 라이브 서버를 켜고, index.htmlscriptlink태그를 추가한 뒤, webpack 개발 서버도 켜고, 커밋할 땐 index.html을 제외하고 커밋하는 해괴한 방식으로 작업했는데, webpack 설정도 한 단계 나아갈 수 있었습니다.

const fs = require("fs");
 
fs.cp("./static", "./dist", { recursive: true }, async (err) => {
    // Copy ./static to ..dist
    if (err) {
        throw err;
    }
 
    console.log("Copied [./public] to [./dist]");
 
    // Remove ./dist/icon
    fs.rm("./dist/icon", { recursive: true }, (rmErr) => {
        if (rmErr) {
            throw rmErr;
        }
 
        console.log("Deleted [./dist/icon]");
    });
 
    // Replace path in js
    const data = fs.readFileSync("./dist/main.js", "utf-8");
    const newValue = data.replaceAll("/static", "");
 
    fs.writeFileSync("./dist/main.js", newValue, "utf-8");
 
    console.log("Replaced [/static] to [] in [./dist/main.js]");
 
    // Replace path in html
    const htmlData = fs.readFileSync("./dist/index.html", "utf-8");
    const newHtmlValue = htmlData
        .replaceAll("/static", "")
        .replace(/main\.(js|css)/gim, "/main.$1");
 
    fs.writeFileSync("./dist/index.html", newHtmlValue, "utf-8");
 
    console.log("Replaced values in [./dist/index.html]");
});

물론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문제가 몇몇 남아, post-build.js라는 스크립트를 따로 짜서 해결한 문제가 있는데, 구글링을 좀 해봐도 해답을 찾기 힘들고, 스크립트를 짜는 것보다 수월하게 해결될 것 같지도 않아서 어느 정도 선에선 스크립트를 활용하는 게 현명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삽질은 마냥 삽질이 아니다

기존에 진행했던 다양한 프로젝트의 경험이 여러모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읽기 좋게 시간을 변환해주는 함수처럼 작은 단위에서 시작해, VM에 접근할 수 있는 SSH 비밀번호 하나 주어진 열악한 환경에서 scp를 통해 배포를 진행하고, nginx를 활용해 서버를 설정하는 것까지 지금까지 해온 다양한 경험이 프로젝트를 한층 빨리 진행할 수 있는 큰 원동력과 밑거름이 되어줬습니다.

다양한 경험을 해보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금 절실히 깨닫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혼자 하는 프로젝트가 아님을 명심하기

프로젝트 마지막 날에 '어차피 프론트엔드에 아직 작업하는 사람은 나뿐이다'는 생각과, '이제 끝이다'라는 생각에 잡다한 버그를 잡으러 typescript를 혼자 도입해버렸습니다.
기술 스택을 바꾸는 정도의 큰일을, 팀원의 동의 없이, 추후에 유지 보수할 가능성을 배제하고 이런 일을 벌인 건 아주 경솔하고 오만한 판단이었다고 생각하고 깊이 반성했습니다.

다행히 추후에 모든 팀원 분들께서 동의해주셨기에 javascript로 다시 마이그레이션 하진 않았고, 백엔드에서도 typescript의 필요성을 느껴 프로젝트 전체가 typescript로 기술 스택을 전환했으나, 순서가 잘못되었음은 변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함께 나아가는 것이 이리도 서툴러 걱정입니다.

맺으며

빡빡한 일정을 그래도 잘 소화한 것 같아 기쁘고, 협업과 더불어 상술한 것처럼 명시적인 코드 작성, 재사용성, 선언형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것들에 관해 고민하고, 앞으로도 생각해갈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혼자 작업할 때보다 git도 훨씬 많이 활용했고, 남의 코드를 보는 눈도 기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힘들 때 서로 힘이 되어주고, 같은 곳을 바라보며 나아가고, 서로 성장할 수 있는 팀 프로젝트의 즐거움에도 눈뜰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다시금 성심성의껏 코드 리뷰를 진행해주시고, 다양한 방면의 조언을 해주신 코치님들과 힘겨운 일정 함께 소화해낸 팀원 분들께 감사하단 말씀 전하며 이만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Report an issue